简体中文
繁體中文
English
Pусский
日本語
ภาษาไทย
Tiếng Việt
Bahasa Indonesia
Español
हिन्दी
Filippiiniläinen
Français
Deutsch
Português
Türkçe
한국어
العربية
요약:© Reuters. KED하나은행 외환 딜러들이 지난 8일 서울 중구에 있는 본사 딜링룸에서 대내외 변수에 따라 시시각각 급변하는 환율 추이를 주시하고 있다. 강은구 기자 egk
© Reuters.
KED하나은행 외환 딜러들이 지난 8일 서울 중구에 있는 본사 딜링룸에서 대내외 변수에 따라 시시각각 급변하는 환율 추이를 주시하고 있다. 강은구 기자 egkang@hankyung.com
전문가들은 “4분기까지는 증시가 지지부진할 가능성이 높다”고 입을 모은다. 이경민 대신증권 투자전략팀장은 “내년 미국 대선 전까지는 이렇다 할 반등의 기회를 찾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투자자들의 돈은 이런 상황을 반영해 금, 달러, 채권 등 안전자산으로 이동하고 있다.
주식시장 내부에서는 배당수익률(주당 배당금/주가)이 높은 종목의 선호도가 커지고 있다. 주가가 조정을 받아 배당수익률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코스피지수는 지난 6일 1950선이 깨진 뒤 여전히 그 이하에 머물고 있다.
상장사들의 고배당 기조는 계속 유지되고 있다. 올해 2분기 중간배당액은 지난 9일까지 3조6511억원이었다. 중간배당 공시가 끝나지 않았지만 지난해 3조6308억원을 이미 넘어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해 배당수익률 전망치(지난 8일 주가 기준)가 3%를 넘는 종목은 59개다. 지난해 말의 48곳보다 많아졌다. 올해 배당액 전망치가 나오는 상장기업 234곳을 집계한 결과다.
KED하나은행 외환 딜러들이 지난 8일 서울 중구에 있는 본사 딜링룸에서 대내외 변수에 따라 시시각각 급변하는 환율 추이를 주시하고 있다. 강은구 기자 egkang@hankyung.com
하나금융지주의 올해 배당수익률 전망치는 6.1%다. 하나금융지주의 주가는 월초 3만4750원에서 지난 8일 3만2800원으로 5.6% 하락했다. 실적이 크게 개선된 것도 배당 확대를 뒷받침할 전망이다. 삼성증권에 따르면 하나금융지주의 올해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4.9%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실적이 지난해보다 안 좋아지더라도 배당수익률이 높을 것으로 추정되는 종목도 있다. 포스코가 그런 사례다. 미래에셋대우에 따르면 포스코의 영업이익은 지난해 5조5430억원에서 올해 4조3750억원으로 26.7%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배당수익률은 지난해 4.1%에서 올해 4.9%로 높아질 전망이다.
한국경제TV 전문가들은 오렌지라이프, 쌍용양회, KT&G, KB금융 등을 배당 매력이 큰 추천종목으로 꼽았다. 김우신 한국경제TV 파트너는 “변동성이 커진 주식시장 영향과 저금리 기조까지 더해지면서 하반기 증시에서도 고배당주 매력이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양병훈 기자 hun@hankyung.com
보통주보다 배당 쏠쏠…'우선주 펀드' 어때요
강남 집값 따라 '갭 메우기'…노량진·강서·서대문 '옐로칩 ...
저평가 유망株 주목할 때, 삼성에 스마트폰용 필름 공급 세경...
와우넷 베스트 파트너 총출동…혼돈의 증시 대응전략 제시
파워로직스, 2분기 영업익 236%↑ '깜짝 실적'
KT&G·두산, 시가배당률 높아질 전망…작년 고배당 오렌지라...
면책 성명:
본 기사의 견해는 저자의 개인적 견해일 뿐이며 본 플랫폼은 투자 권고를 하지 않습니다. 본 플랫폼은 기사 내 정보의 정확성, 완전성, 적시성을 보장하지 않으며, 개인의 기사 내 정보에 의한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