简体中文
繁體中文
English
Pусский
日本語
ภาษาไทย
Tiếng Việt
Bahasa Indonesia
Español
हिन्दी
Filippiiniläinen
Français
Deutsch
Português
Türkçe
한국어
العربية
요약:© Reuters. 폭염이 예상 외로 길어지면서 ‘여유 전력’을 뜻하는 전력 예비율이 7% 밑으로 뚝 떨어졌다. 정부는 비상관리체제를 가동하기 시작했다. 13일 전력거래소에 따르
© Reuters.
폭염이 예상 외로 길어지면서 ‘여유 전력’을 뜻하는 전력 예비율이 7% 밑으로 뚝 떨어졌다. 정부는 비상관리체제를 가동하기 시작했다.
13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최대 전력 수요가 9031만㎾를 기록했다. 정부가 당초 예상했던 올해 최대 수요(8950만~9130만㎾)의 하단을 깬 수치다.
피크 때(오후 4~5시)의 예비 전력은 608만㎾에 불과했다. 국가 전체의 발전설비 공급능력(9639만㎾) 대비 실제 공급할 수 있는 전력 예비율은 6.7%였다. 예비율이 10% 밑으로 떨어진 것은 올 들어 처음이다. 전력 수요는 지난 12일 8694만㎾(예비율 11.7%)였으나 하루 만에 약 340만㎾ 급증했다. 111년 만의 폭염으로 전력당국에 비상이 걸렸던 작년 7월 24일의 예비율(7.7%)보다도 낮았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기온이 1도 높아질 때마다 최대 230만㎾의 추가 전력이 소요된다”며 “휴가철 피크가 지나면서 전력 수요가 갑자기 늘어난 게 원인인 것 같다”고 말했다.
올해부터 7~8월 전기요금 누진제를 완화한 것도 전력 수요를 자극한 요인 중 하나로 지목됐다. 앞서 한국전력은 총 3단계로 돼 있는 누진제의 1, 2단계 상한을 확대해 1630만여 가구에 월평균 1만원 정도 요금을 깎아주기로 했다.
예비전력이 500만㎾ 이하로 낮아지면 정부는 위기경보를 발령하게 된다. 대용량 발전기의 불시고장 등 돌발 상황이 대정전(블랙아웃)으로 이어지는 사태를 막기 위해서다.
낮 기온이 35도 안팎에 달하고 습도가 높게 유지되는 찜통 더위가 당분간 이어질 것이란 게 기상청의 분석이다. 전력거래소 관계자는 “비상체제로 전환한 뒤 전력 수급 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의 올해 전력수급 대책 기간은 다음달 20일까지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
“전기요금 할인, 정부가 한전 지원”
에너지공단·전력거래소, 신재생에너지 확산 위한 MOU 체결
전력거래소, 전력운영시스템 개선 위한 워크숍 개최
성윤모 산업부 장관, 겨울철 전력수급 현황 파악
전력거래소, 저소득 아동가정 주택보수 실시
“탈원전과 전력수급 문제는 무관… 원자력계, 근거없이 반대”
면책 성명:
본 기사의 견해는 저자의 개인적 견해일 뿐이며 본 플랫폼은 투자 권고를 하지 않습니다. 본 플랫폼은 기사 내 정보의 정확성, 완전성, 적시성을 보장하지 않으며, 개인의 기사 내 정보에 의한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