简体中文
繁體中文
English
Pусский
日本語
ภาษาไทย
Tiếng Việt
Bahasa Indonesia
Español
हिन्दी
Filippiiniläinen
Français
Deutsch
Português
Türkçe
한국어
العربية
요약:셀트리온 (KS:068270)을 포함한 국내 제약·바이오 종목이 일제히 고개를 숙였다. 미국 제약사 화이자에서 개발한 알약 형태의 먹는(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가 '게임 체인저'
셀트리온 (KS:068270)을 포함한 국내 제약·바이오 종목이 일제히 고개를 숙였다.
미국 제약사 화이자에서 개발한 알약 형태의 먹는(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가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단 분석이 주가를 끌어내린 것으로 풀이된다.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제약·바이오 대장주 삼성바이오로직스 (KS:207940)는 전 거래일 대비 4만1000원(4.75%) 하락한 82만3000원에 셀트리온은 전 거래일 대비 1만2000원(5.74%) 내린 19만70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전날 SK바이오사이언스 (KS:302440)의 낙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3만6500원(14.2%) 급락해 22만500원에 장을 마쳤다.
지난 6일 화이자 (NYSE:PFE)는 미국에서 먹는 코로나19 치료제가 코로나19 감염자의 입원 비율을 85% 정도 줄이는 효과를 나타냈다며 임상실험 결과를 공개했다.업계에서는 먹는(경구용) 알약 형태의 치료제가 상용화될 경우 보관과 운송 등의 편의성이 급격히 증가하고 안전성과 투약의 편리함도 월등히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앞서 미국의 또 다른 제약사 머크 (NYSE:MRK) 역시 먹는 치료제의 임상실험 결과를 공개한 바 있다.
하지만 이번 화이자 치료제는 머크의 알약보다 치료효과가 더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박병국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화이자의 경구용 치료제 개발 소식에 코로나19 백신, 항체치료제, 진단 등 코로나19 관련 해외 기업들의 주가는 일제히 하락했다”며 “이는 지난 10월1일 머크의 경구용 치료제 데이터가 나왔을 때와 유사한 반응이며 연휴가 끝난 뒤 국내 제약바이오 시장에서도 유사한 주가하락 현상이 발생했다”고 설명했다.박 연구원은 “다만 센티멘털에도 영향을 받아 움직이는 단기적인 주가를 보고 미래를 판단하는 건 지양해야 한다”며 “앞서 머크 치료제 이후 모더나와 노바백스가 하락분을 메우고 다시 반등한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면책 성명:
본 기사의 견해는 저자의 개인적 견해일 뿐이며 본 플랫폼은 투자 권고를 하지 않습니다. 본 플랫폼은 기사 내 정보의 정확성, 완전성, 적시성을 보장하지 않으며, 개인의 기사 내 정보에 의한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