简体中文
繁體中文
English
Pусский
日本語
ภาษาไทย
Tiếng Việt
Bahasa Indonesia
Español
हिन्दी
Filippiiniläinen
Français
Deutsch
Português
Türkçe
한국어
العربية
요약:지난해 국내 증권사 해외 현지법인의 당기순이익이 약 36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62% 증가한 규모다. 24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1년 국내 증권회사 해외점포 영업
지난해 국내 증권사 해외 현지법인의 당기순이익이 약 36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62% 증가한 규모다.
24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1년 국내 증권회사 해외점포 영업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증권사 해외 현지법인 55곳의 당기순이익은 3억590만달러(3627억원)로 전년 대비 1억1740만달러(62.3%) 늘었다.
당기순이익 규모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임에도 글로벌 증시 활황 등 영향으로 증가 추세를 유지했다. 대형 증권회사를 중심으로 홍콩, 베트남 등 아시아 국가에서 비대면 마케팅 등 적극적인 영업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13개 증권사가 해외에 현지법인을 운영하고 있다. 14개국에 진출해 현지법인 55곳, 사무소 14곳 등 69개 해외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아시아 지역이 52곳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미국 12곳, 영국 4곳, 브라질 1곳 등이 뒤를 이었다.
국가별로 보면 홍콩, 베트남 등 7개국에서 위탁·인수 수수료수익 등으로 흑자를 기록했다. 중국 등 6개국에서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영업제한, 판관비 증가 등으로 적자가 발생했다.
해외현지법인 총자산은 258억6000만달러(30조7000억원)로 전년 대비 47.9%(238억2000만달러) 감소했다. 일부 현지법인이 리스크 관리 목적으로 레포(환매 조건부 채권매매) 거래를 축소함에 따라 자산·부채 모두 감소했다.
자기자본은 74억6000만달러(8조8000억원)로 전년 대비 13.3%(8억8000만달러) 증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향후 증권회사가 해외 진출시 발생할 애로사항과 감독당국에 대한 건의사항 등을 청취하고 적극 지원할 것“이라며 ”우크라이나 사태 등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리스크 요인을 선제적으로 파악하는 등 모니터링 체계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머니S에서 읽기
면책 성명:
본 기사의 견해는 저자의 개인적 견해일 뿐이며 본 플랫폼은 투자 권고를 하지 않습니다. 본 플랫폼은 기사 내 정보의 정확성, 완전성, 적시성을 보장하지 않으며, 개인의 기사 내 정보에 의한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